2025 Art Busan

 ART BUSAN 2025 ​참 여 작 가Collin SekajugoEom EunsolJUN YejinMONAMEESURREA * 관람 날짜&시간 *​ Bexco, Busan (벡스코 제1전시장/ 부산시 해운대구 APEC로 55) < KLAMP GALLERY 부스 위치: B-2 >... Eom Eunsol, 색을 잃은 사람들: What's In The Box?, 130.3 x 193.9cm, oil on canvas, 2025​ ​Eom Eunsol, 제법 이상한 티타임, 95x150cm, oil on paper towel and canvas, 2025​ ​Eom Eunsol, 우리가 물에 살면 좋을 텐데, 지름 20cm, oil on canvas, 2025​ ​Eom Eunsol​독일에서 7년간 고립된 생활을 하며 두려움과 죽음에 관한 그림을 그리던 엄은솔 작가. 그림 속 인물들은 정면을 바라봤지만, 그녀 자신은 그렇지 못했다고. 서울로 돌아온 작가는 자신을 위해 그림을 그린다고 믿었지만, 점점 이웃과 세상을 향한 사명감을 느끼게 되었다고 말한다.엄은솔 작가는 꿈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을 만들어낸다. 비정형 캔버스와 낯선 공간 속 인물들이 어우러진 그림은 마치 한 편의 영화 같다. 그녀의 그림은 관객에게 ‘시간’을 선물하며, 그동안 간과했던 삶의 내면을 다시 바라보게 한다.​EOM Eunsol spent seven years in isolation in Germany, creating paintings about fear and death. The figures in her paintings looked straight ahead, but she couldn't. Upon returning to Seoul, the artist says she believed she was painting for herself, but gradually felt a sense of mission toward her neighbors and the world. Inspired by her dreams, EOM Eunsol creates works that cross the lin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Her paintings are like a movie, with atypical canvases and figures in unfamiliar spaces. Her paintings give the viewer a gift of ‘time’ and invite them to take a second look at the inner aspects of life that they have overlooked.​​[CV]​Master School of Painting, The State Academy of Fine Arts Karlsruhe,Germany with Prof. Corinne and guest professor Philipp Kremer​* 전시 ​Solo• 11 / 2022 conscious but unconscious, Galerie ERD, Busan, Republic of Korea• 09 / 2022 conscious but unconscious, Galerie ERD, Seoul, Republic of Korea • 02 / 2020 No Title, 2019 Emerging Artist Competition Winner Solo Exhibition, Palais de Seoul, Republic of Korea​• 08 / 2018 Scared People, Kara’s Gallery, Seoul, Republic of Korea​ Group• 05 / 2024 Majoolmmool Art Market, Kimreeaa Gallery Seoul, Republic of Korea• 04 / 2024 8540+690, Seoul, GBLUE Gallery Republic of Korea​• 10 / 2023 《 》 Eunsol Eom, Jiyoung Kim Duo Exhibition, SPACE SAZIC, Seoul, Republic of Korea​• 06 / 2023 Happy Birthday 1: Green to Blue, GBLUE Gallery, Seoul, Republic of Korea​• 12 / 2022 CLOUD, Galerie ERD, Busan, Republic of Korea • 06 / 2021 TOP 20 Meisterschüler*Innen, Kunstverein Heilbronn, Germany​• 01 / 2020 Blick hinter die Kulissen – Max Ernst-Scholarship 2020 – Final Exhibition, Galerie am Scholoss, Brühl, Germany • 12 / 2019 YICCA(International Contest of Contemporary Art) 2019 - Final Exhibition, CMC MILANO, Italy• 07 / 2019 Scared People, Diploma Exhibition, The State Academy of Fine Arts Karlsruhe, Germany• 05 / 2018 Intersection One, Orgelfabrik – Culture in Durlach, Karlsruhe, Germany * 수상• 12 / 2022 The Elizabeth Greenshields Foundation, 3rd Grant, Canada• 04 / 2020 The Elizabeth Greenshields Foundation, 2nd Grant, Canada• 01 / 2020 Max Ernst-Scholarship 2020 – Finalist, Germany• 12 / 2019 YICCA(International Contest of Contemporary Art) 2019, 1st place, Italy• 09 / 2019 Palais de Seoul 2019 Emerging Artist Competition, selected artist, Republic of Korea• 12 / 2018 The Elizabeth Greenshields Foundation, 1st Grant, Canada​ JUN Yejin, Daydreaming, Acrylic and oil pastel on canvas, 227.3x181.8cm, 2025​ JUN Yejin, 헤엄치지 않는 오리배, Acrylic and oil pastel on canvas,90.9x72.7cm, 2025​ ​ JUN Yejin, No destination, Acrylic and oil pastel on canvas,53x45.5cm, 2025​ JUN Yejin​작가는 눈에 보이는 세계, 즉 현실이라 명명되는 세계에서의 결핍되어 있던 자유의 가치와 무한의 상상의 힘을 보이지 않는 세계, 꿈, 공상이라는 차원에서 실현하고 있다. 눈에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현실의 세상과 꿈 속의 드넓은 대지는 언뜻 대립되거나 분리된 것처럼 사유되기도 하지만 작가의 공상적인 스토리텔링은 현실과 공존하며 눈에 보이는 세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작가의 공상은 허탄한 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와 무한의 가치를 현실 속 우리에게 전하고 있는 실천적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The artist realizes the value of freedom and the power of infinite imagination in the invisible world, the world of dreams and fantasies. and the power of infinite imagination are realized in the invisible world of dreams and fantasies. The visible world and the invisible world, The visible world and the invisible world, the real world and the vast land of dreams, are sometimes thought of as opposed or separate, but the artist's fanciful storytelling coexists with reality and changes the visible world. In this sense, the artist's fantasy is is not limited to fanciful dreams, but has a practical character that conveys the value of freedom and infinity to us in reality. the values of freedom and infinity.​​[CV]​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학사 ​* 전시​2022.12 Nomad (M contemporary, 밀락더마켓부산) 2021.08 Blink (카이스트 경영대학 Research & Art gallery, 서울) 2019.09 KB청춘마루 아티스타개인전 Eternal Moments (KB청춘마루, 서울) 2017.08 Tropical mood (쇼파르뮤직Café Shofar, 서울) ​그룹전&아트페어2023.05 Online show (Guy Hepner Editions, New York)2023.05 성수고요수목원(Collast, 서울) 2023.05 Affordable Art Fair (Hong Kong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2023.04 화랑미술제 (COEX, 서울) 2023.03 Spring group show (VINS Gallery, Taipei, Taiwan)2023.03 BAMA (BEXCO, 부산) 2023.01 The Human I Love (Olivia Park gallery, 서울) 2022.11 DIAF 대구국제아트페어(EXCO, 대구) 2022.11 Affordable Art Fari(F1 PIT BUILDING, Singapore) 2022.10 BTBA (갤러리 소공헌, 서울) 2022.08 아트제주 (롯데호텔 제주) 2022.07 Urban Break (COEX, 서울) 2022.06 Fresh Buns (Andtreegallery, 서울) 2022.06 IN-JOY OF ART (관훈갤러리, 서울) 2022.05 조형아트서울(COEX, 서울) 2022.05 NFT ART 101 (강동아트센터, 서울) 2022.04 BAMA (BEXCO, 부산) 2022.03 화랑미술제 (SETEC, 서울) 2022.02 서울호텔아트페어(인터콘티넨탈COEX, 서울) 2022.02 Blooming! MZ (정수아트센터, 서울) 2022.02 Find your piece (써포먼트갤러리, 서울) 2021.12 Maison de Noel (Galerie IHAM, 파리, 프랑스) 2021.12 KARTZ : ART SHAPES THE FUTURE (노들섬다목적홀, 서울) 2021.10 2021 BAMA 국제호텔아트페어(그랜드조선, 부산) 2021.10 2021 GlithersNFT Festival (Artspace Bluescreen) 2021.07 어반브레이크 2021 (코엑스 B홀, 서울) 2021.06 NFT전 (유진 갤러리, 서울) 2021.05 NFT VILLA (빌라 해밀톤/ KOTE, 서울) 2021.05 The Token Manifesto (Punto Blu, 서울) 2020.10 수원시 청년바람지대 지원사업-플랫폼 연무지개‘폐관전’ (오손도손,수원)2020.10 브리즈아트페어(ANDO, 서울) 2020.08 전예진XAPRVD RE:ART전 (Brick Lane White-Box Boutique, 런던, 영국) 2019.11 브리즈아트페어(노들섬, 서울) 2019.07 KB청춘마루아티스타콜라보전 Tri-angle:3인의 시선(KB락스타청춘마루,서울)2019.05 수원시 청년바람지대 WLDNJSTKDJQ-플랫폼연무지개개관전(홈 연무, 수원) 2018.12 Emerging canvas V 한국인도 청년작가교류 참가작품전 (인도박물관,서울) 2018.11 Emerging canvas V 한국인도 청년작가 교류전(Lalit Kala Akademi, 첸나이, 인도) 2017.07 ASYAAF 아시아프(DDP, 서울) 2016.08 10인의 Young artist JUMP UP전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서울) ​ ​ MONAMEE, False Self, 117 x 91cm, Acrylic on Canvas, 2025​ MONAMEE, SONO In Silence, 117 x 91cm, Acrylic on Canvas, 2025 MONAMEE, 선의로 포장된 거짓, 117 x 91cm, Acrylic on Canvas, 2025 MONAMEE​나는 실재와 허상,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모호한 경계에서 경험하고 느낀 것들을 그린다.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은 선과 악, 옳고 그름 등 개념으로부터 파생된 분별하기 어려운 가치들이 난무하고 있다. 이런 개념들을 단일한 의미로 분명하게 하려 들면 금방 한계에 부딪히고 끝내 무력함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단일한 의미 속에서 벗어나 대립면의 경계 에 서서 세상을 조망하면 개념적 사고가 만들어 낸 장벽이 허물어지게 되고, 순수한 감각 으로 세상을 관조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얻은 순수한 감각과 대립면의 경계에서 촉발되는 모든 것들이 나의 영감이자 창작 재료이다. 개념이 지어낸 협소한 관념에 매달리는 것이 아닌 모호한 경계 속 짙게 엉기어 있는 감각 들에 집중하여 나만의 방식으로 표상하는 것이 내 표현 방식이다. 이렇게 표현된 가치가 세상과 소통하는 고유한 기호가 되었으면 한다.​The world we live in is full of indistinguishable values derived from concepts such as good and evil, right and wrong. When we try to clarify these concepts with a single meaning, we quickly run into limits and end up feeling helpless. However, if we break away from the single meaning and look at the world from the boundary of opposites, the barriers created by conceptual thinking are broken down, and we can observe the world with pure senses. The pure sensations gained from this process and everything that is triggered by the boundaries of opposites are my inspiration and creative materials. My way of expression is not to cling to the narrow ideas created by concepts, but to focus on the sensations that are densely intertwined in the ambiguous boundaries and express them in my own way. I hope that the values expressed in this way will become a unique symbol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CV]삼육대학교 시각디자인 전공 ​ * 전시Half awake, half asleep (클램프갤러리, 서울)가상의 지점 (트라아트갤러리, 서울)외모지상주의展 : LOOKISM EXHIBITION (아카이브 피 갤러리,서울) 이상한 나라의 괴짜들 전 (압구정 K 현대 미술관,서울) ​ SURREA, 그래도 지구는 돈다, 130.3×162.2cm, Acrylic on canvas, 2025​ SURREA, 예술 토론회, 116.8×91cm, Acrylic on canvas, 2025​​ SURREA, 나는 항상 너의편, 116.8×91cm, Acrylic on canvas, 2025 SURREA 공간을 탐구하고 감각을 수집하는 수레아 작가는 한국적인 색채와 감성에 독일의 철학적인 면모를 융합 시킨다. 오랜 독일 생활과 독일 최고 미술 과정인 마이스터 과정을 수료한 그에게 있어 독일어는 그만의 아이덴티티이자 내면의 표현을 보여주는 언어이다. 그의 작품에서는 글씨가 반대로 적혀 있기도 하다. 반대로 쓴 글씨는 캔버스를 일종의 ‘막’으로 상정하여, 안쪽과 바깥쪽, 양측의 공간에서 접근하는 것을 유도한다. 착시를 통해 양각으로 나타나는 음각을 표현하며 안과 밖을 모두 아우르는 수레아의 작품은 여러 겹의 레이어로 정교히 이루어져 있다. 바탕색을 깔고, 캔버스에 그린 그림을 잘라서 붙인 뒤 테두리를 두르는 작업 과정을 거쳐 그녀만의 독특한 화풍을 완성시킨다. Surrea, who collects senses and focuses on space combines Korean color and German philosophy within her works. German is a language that shows her identity because she stayed there for a long time taking Meister course, one of the highest degree in fine art. In her works, some letters are written in mirror mode. And these are based on the idea that the canvas is a screen which link inside and outside of the space between canvas. Moreover, some intaglio motifs which seems relieved due to illusion is also the key factors of Surrea work. Her works are also elaborately composed with several layers. After painting the background, cutting, attaching and framing the painted canvas pieces, she completes her own painting style. [CV] 상명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조소과 졸업 (Bachelor)독일 국립 뮌스터 조형예술대학 석사 (Diploma), 뮌스터, 독일Prof. Guillaume Bijl담당교수에게 마스터 과정 졸업 (Meisterschueler), 뮌스터, 독일 * 전시 개인전2024 ‘Energie Museum‘ , 클램프갤러리, 서울2023 'Glück Monster' , YOHAKU, Ginza, Japen2023 '꿈꿀 권리' platinum Gallery, Seoul, Korea2022 ‘수레알리즘 그리고 수레아’, 클램프갤러리, 서울 2020 'Slow Slow Quick Quick', 양평군립미술관, 경기2020 '시각, 촉각, 감각의 버무림', Art Space Grove, 서울2018 '카니발에서의 만남' Quartier am Hafen_Q18, 쾰른, 독일 2013 'Ohne Dich gibt es kein Wunderland’ Maria Haverkamp, 엠스데텐 ,독일2009 `완전히 또는 전혀’ Quartier 7, 뮌스터, 독일 그룹전&아트페어 2023 'I AM GROUND' Klamp gallery, Seoul, Korea 2022‘별나다 프로젝트‘ 아트투게더, 서울‘착한갤러리 강남4월 기획전’, 서울‘착한갤러리 개관전’ 착한갤러리, 서울'Find your piece' 써포먼트 갤러리, 서울 'Die Kraft' 2인전, 갤러리 다온, 서울 2021'Attention Art Show' 그림손갤러리, 서울울산국제아트페어, 자작나무갤러리, 울산'Die Freunde, die innere Staerke haben.' 대구아트페어, 클램프갤러리, 엑스코아트타이페이, 자작나무갤러리, 대만'The Colors Start Beating', 갤러리컬러비트, 서울'Wald der Wuensche', 어반브레이크 아트아시아, 클램프갤러리, 코엑스부산국제화랑미술제, 갤러리아트숲, 벡스코'Wasser Freuer Erde Luft und Wir', 화랑미술제, 갤러리아트숲, 코엑스세상의 모든 드로잉, 갤러리IN, 서울 202010 to N 프로젝트, 문화역 서울284, 서울연희아트페어, 갤러리IN, 서울어반브레이크 아트아시아, Art Vibes, 코엑스KIAF 초대작가전, 갤러리세인, 서울'COL+-' 갤러리IN, 서울 (2인전)'예술이 친구라면' 갤러리세인, 서울'trendy sensibility (트렌디 감성)' 展, 로운갤러리, 서울'The Art Power' 전, 양평군립미술관, 경기'Seeing the Unseen', The Shift 5기, 갤러리박영, 경기'FLY HICH' 충무로갤러리, 서울 (2인전) 2019 '2019 양평신화찾기-3 <도큐멘트>전_청년미술의 시선전' 양평 군립미술관'예술하라_예술편의점' 팔레드서울, 관아갤러리, 서울 & 충주 2018 'Haus der Kunst Enniger 2018' Haus der Kunst Enniger Kunstverein, 에닝어로, 독일 2017 'Haus der Kunst Enniger 2017' Haus der Kunst Einniger Kunstverein, 독일'Endlos. Wasserfälle.Tal. Blaukleid' Museumsnacht Quartier am Hafen, 쾰른 ,독일'Teich. Nacht. Mond. Traum' Quartier am Hafen 0.14, 퀼른, 독일'Kunst der Baustelle' Kunsthaus Isabella Agnes, 륙데, 독일 2016 Residence Programm 3 Monate / 'Haus der Kunst Enniger 2016'Haus der Kunst Enniger Kunstverein, 에닝어로, 독일 2015 'something between us’, the wheelhouse, 뉴욕, 미국 2014 'Diamonds and Pearls' Klasse Ayşe Erkmen bei Evelyn Drewes Galerie, 함부르크,독일Aqua miami artfair 2014, space 776 Gallery, 마이에미, 미국 2013 'Ohne Dich gibt es kein Wunderland’ Ludwig Lichtkonzepte, 뮨스터, 독일'Potenzial Baby! ’ KUBOSHOW kunstmesse 2013, 헤어네, 독일'Ohne Dich gibt es kein Wunderland’ Abschlussausstellung an der Kunstakademie Münster, 뮨스터, 독일 'New Kids of the Block" Gallerie Tanas베를린, 독일 2012 'PERISTASIEN’ Ein Ausstellungsprojekt Kunstakademie Münster, 뮨스터, 독일'UNDER CONSTRUCTION’ Ausstellungreihe Schützen str.3, 뮨스터, 독일 2011 'Dem Gehirn auf der Spur. Denken-Erinnern-Vergessen’,Wilhelm-Fabry-Museum, 힐덴, 독일'Kunst in der Region 2011’ im DA Kunsthaus Kloster Gravenhorst, 효어스텔, 독일'Weltberühmte Bilder_Parodie_Ausstellung mit Van Gogh’ 양산시문화예술센터,서대문예술문화센터, 서울 & 부산, 한국 `Uitwisselingstentoonstelling’ im KASK, 겐트 , 벨기에`Momente in Dunkelheit’ beim Dülmener Kunstverein e.V., 듈멘, 독일SEOUL PHOTO 2011 (Erste Foto-Kunstmesse in Asien seit 2008), 서울, 한국B-Seite: Festival 2011 for visual arts, 만하임, 독일 2010 Förderpreisausstellung der Freunde der Kunstakademie, Ausstellungshalle zeitgenössische Kunst, 뮨스터, 독일`Tod des Wewerka Pavillons und ein neuer Anfang’ Wewerka Pavillon, 뮨스터, 독일 `PHÄNOMENAL Förderausstellung Aktuelle Kunst in der WGZ, 뒤셀도르프, 독일 2009 `Contemporary Korean Art in the World`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Natur - Mensch’ Nationalpark Harz, 잔트 안드레아스베억, 독일 `art-figura’ Museum Schloss Schwarzenberg, 슈바르쩬베억, 독일`Art up! 2009 Junge Kunst aus deutschen Akademien’ Kunstförderverein Kreis e.V., Düren, 듀렌, 독일 2008`BettGeschichten’; Galerie Noack, 묜쉔글라트박, 독일 `NEULAND’; Kultur Bahnhof Eller Düsseldorf, 뒤셀도르프, 독일 `NEW GRASS’; Kunstverein Gelsenkirchen e.V. im Städtischen Museum, 겔젠킬센, 독일 2007 `Göttesanbeterin’ Kunstakademie Düsseldorf, 뒤셀도르프,독일2006 `R 021’ bei Herrn Prof. Martin Gostner, 뒤셀도르프, 독일​ 

KLAMP GALLERY

logo
LOG IN 로그인
  • HOME
    • ABOUT
      • ARTISTS
        • Lee Aeri
        • Surrea
        • Jun yejin
        • Ava
        • Hyeonseo
        • Kim Yool
        • Facyhosi
        • Cheon Yugyeong
        • Mond
        • Lee Isoo
        • Monamee
        • Aiden Milligan
        • Jason Hackenwerth
        • Mikhael yesyurun
      • EXHIBITIONS
        • ART FAIRS
          • STORE

            KLAMP GALLERY

            logo
            • HOME
              • ABOUT
                • ARTISTS
                  • Lee Aeri
                  • Surrea
                  • Jun yejin
                  • Ava
                  • Hyeonseo
                  • Kim Yool
                  • Facyhosi
                  • Cheon Yugyeong
                  • Mond
                  • Lee Isoo
                  • Monamee
                  • Aiden Milligan
                  • Jason Hackenwerth
                  • Mikhael yesyurun
                • EXHIBITIONS
                  • ART FAIRS
                    • STORE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LAMP GALLERY

                      logo

                      KLAMP GALLERY

                      logo
                      • HOME
                        • ABOUT
                          • ARTISTS
                            • Lee Aeri
                            • Surrea
                            • Jun yejin
                            • Ava
                            • Hyeonseo
                            • Kim Yool
                            • Facyhosi
                            • Cheon Yugyeong
                            • Mond
                            • Lee Isoo
                            • Monamee
                            • Aiden Milligan
                            • Jason Hackenwerth
                            • Mikhael yesyurun
                          • EXHIBITIONS
                            • ART FAIRS
                              • STORE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LAMP GALLERY

                                logo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클램프 갤러리 | 대표: 장성주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장성주 | 전화: 02 577 9807 | 이메일: tjfwn76688@naver.com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454-5, 동화빌딩 1F | 사업자등록번호: 536-50-00445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