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애리 GoodLuck in 꽈리22-3, 73x73cm, 장지에 수묵, 주묵, 과슈, 2022 이애리 GoodLuck in 꽈리22-1, 45.5x45.5cm, 장지에 수묵, 2022 이애리 GoodLuck in 꽈리22-2, 61x61cm, 장지에 수묵, 주묵, 과슈, 2022 《Good Luck: LUCKY BLOSSOM》 클램프갤러리는 꽈리를 통해 행운을 전하는 이애리 작가의 2022년 첫 개인전 《Good Luck: LUCKY BLOSSOM》을 개최한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신작 16점을 포함하여 이애리의 독창적인 세계관이 담긴 다양한 꽈리 그림을 만나볼 수 있다. 이애리는 행운과 사랑, 부와 다복의 의미를 지니는 ‘꽈리’를 통해 우리에게 희망을 전한다. 둥근 열매나 씨앗을 통해 생명의 순환, 자연의 소중함을 생각하며 작업하던 작가가 꽈리를 소재로 작업하게 된 계기는 작업실로 가는 길목에서 꽈리를 파시는 할머니께 들었던 동화 같은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어려웠던 그 시절, 예쁜 주홍빛의 꽈리를 보며 즐거움을 느끼고 그 열매의 새콤, 달콤, 쌉쓰름한 맛으로 배를 채우고 꽉꽉 소리를 내는 꽈리 피리를 불며 재미나게 놀았다는 할머니의 어릴 적 이야기는 작가에게 시각, 미각, 촉각, 후각, 청각 등 오감을 만족시키는 풍부한 예술의 소재가 되었다. 지금도 여러 길상의 상징으로 우리의 곁에 함께 하는 꽈리는,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며 남녀노소 모두와 교감할 수 있는 요소이다. 이애리는 꽈리를 통해 급변하는 각박한 현대사회에서의 소통과 화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우리 삶에 행운과 행복이 함께하길 기원한다. 작품 속 둥근 꽈리는 먹과 주묵을 활용한 함축된 선과 색으로 표현되는데, 꽈리를 이루는 무수한 선들은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과 삶의 이야기를 의미하며, 둥근 꽈리는 대자연의 순환과 우리를 둘러싼 광활한 우주의 무한한 세계, 그리고 그 세계를 유지하는 질서를 상징한다. 이애리의 꽈리는 다양성 속 조화와 화합을 형상화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것들이 복합적인 양상으로 순환하면서 우주를 이루고, 생명을 이루고, 정신을 이루게 되는 과정을 담아낸다. 클램프갤러리는 《Good Luck: LUCKY BLOSSOM》을 통해 관람객이 작품 속 꽈리와 교감하며 오감의 만족을 즐기고, 나아가 ‘다양성’이 키워드가 된 현대사회에서의 진정한 조화와 화합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시간을 경험하길 바란다. Klamp gallery helds Aeri Lee’s first personal exhibition of 2022, 《Good Luck: LUCKY BLOSSOM》. She sends message of luck through ‘lantern plant’. In this exhibition, we introduces her various lantern plant paintings, which includes the artist’s unique viewpoint, including 16 pieces of newly painted work. Aeri Lee tells hope with ‘lantern plant’, which symbolizes luck, love, and great happiness. Through round-shaped fruit and seeds, she came up with an idea about the circulation of life and precious nature. And this begins from the fairy-taleish story that she heard from an old woman, who was selling lantern plants, while heading to her studio by chance. The old woman said, in former days, that she enjoyed beautiful scarlet of lantern plant and tasted its sweet & sour, or sweet & bitter fruit. And she also made flute-like sounds with it. This story sincerely touched the artist and made her to use it as a great stuff of her art, which indulged all of her senses.Still widely symbolizing lucky omen, lantern plant connects between tradition and same-age and also leads us to commune with others regardless of sex or age. Aeri Lee wishes us good luck and happiness with our life, showing true harmony and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figuratively.Round-shaped lantern plants in her works are painted with lines and colors of black and vermilion chinese ink, and countless lines of lantern plants mean various stories and thoughts of us. Lantern plant’s rounded shape symbolizes the circulation of Mother Nature and infinity of cosmic order. Aeri Lee’s lantern plant paintings give shape to harmony in social diversity, while containing the course of circulating cosmos, rising of every life, and growing spirit of each object. Klamp gallery wishes visitors to enjoy and feel connection with sensuous lantern plant. Moreover, we hopes visitors to experience true harmony and communication at this moment when we cannot emphasize ‘diversity’ as a keyword anymore. 이애리선화예술 고등학교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한국화 전공 및 동 대학원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과 미술학 박사(Ph. D.) 개인전(부스전)2021 초대전 산모롱이 느린 선 하나 - 한국화 특별전 제3전실관 (솔거미술관, 경주)2020 초대전 Good Luck -오늘의 당신에게- (소노아트갤러리, 서울) 2020 최영욱, 이애리 초대전 (갤러리위, 경기) 2020 초대전 (갤러리아백화점 광교 VIP라운지 12층, 경기) 2019 초대전 (롯데백화점 영등포 MVG라운지 4,5층, 서울) 2019 초대전 (HDAC 카페드 블록, 현대BS&C, 서울) 2019 초대전 (상해 Liu Gallery-중국) 2018 초대전 (한국경제신문사 한경갤러리, 서울) 2017 초대전 (갤러리 훈, 서울) 2017 초대전 (갤러리 아트리에, 경기) 2017 초대전 (미구스타 갤러리, 서울)2015 초대전 (Gallery CHUN NewYork, 미국) 2015 초대전 (갤러리 피치, 서울) 2014 초대전 (주일 한국대사관 Gallery MI, 일본) 2014 초대전 (Amelie A. Wallace Gallery SUNY College at Old Westbery in NewYork, 미국) 2014 초대전 (Space Womb Gallery NewYork, 미국) 2012 초대전 (청도 명가 미술관, 중국)2010 초대전 (북경798 아트센터 706홀, 중국) 초대전 (문신미술관 빛 갤러리, 서울) 2008 초대전 (세종갤러리, 서울) 초대전 (롯데갤러리, 안양) 2007 초대전 (긴자 artist space, 일본)2006 초대전 (대전시립미술관, 대전)2004 초대전 (인사아트센터, 서울)2003 개관기념 초대전 (취옹 예술관, 가평) 2002 초대전 (현대예술관, 울산)1998 초대전 (서호 갤러리, 서울) 1995 초대전 (예일화랑, 서울)1994 초대전 (삼정 아트스페이스, 서울) 등 단체전SCOPE MIAMI BEACH 2019, ARTPLUS 상해 아트페어, 홍콩 컨템포러리 아트쇼, 아트포모사 타이페이, 홍콩하버아트페어, 아트오사카, 상해아트페어, 뉴욕아트엑스포, 어포더블 아트페어, KIAF, SOAF, BAMA, AHAF, 아트부산, 화랑미술제, 대구아트페어, 아트제주, 조형아트쇼, 어반브레이크 등 2021 산모롱이 느린 선 하나 - 한국화 특별전 (솔거미술관, 경주) 2021 한국화 중견작가 초대전 -오색미감 - (아트뮤지엄 려, 여주)2020 청담이전 기념 특별 재개관 전 (갤러리 앤아트, 서울) 2020 행복팔경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20 회상전 (피처링갤러리, 뉴욕) 2020 오로라 기획전 (소노아트갤러리, 서울) 2019 I Dream 전 (미즈메디 병원 갤러리, 서울) 2019 서울-뉴욕 교류전 (금보성아트센터, 서울) 2019 한국화, 길을 묻다 (미술세계 갤러리, 서울) 2019 문방과 작가와의 만남전 (아리수갤러리, 서울) 2017 한식 문화미술대전 (청와대 사랑채기획전시실, 서울) 2017 아쿠아 아트 쇼-뉴욕 (MOKAH Museum, 미국) 2017 아름다움을 소통하다 (모란미술관, 경기) 2016 뉴욕, 뉴욕, 뉴욕 (space womb gallery, 뉴욕)팔레 드 서울 기획초대전 (팔레 드 서울 미술관, 서울)아트아시아 2012 한국 현대미술가 100인 특별전 (코엑스, 서울)청도 명가미술관 100인 초대전 (청도 명가미술관, 중국)당대 중한 우수작가 미술작품전 (북경798 아트센터 706홀, 중국)한.중수교 17주년기념 한중미술국제교류회전 (항주 과학기술교류관, 중국)개관35주년 한국 현대회화 100인전 (우림화랑, 서울)한미 예술 교류전 (캐이트 화인 아트센터, 메릴랜드 미국)한.일.중 국제선면전 (동경도 미술관, 일본) 2008 올림픽 국제 미술대전 (중국서안 양보류 미술관, 중국)청계천100호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본관, 서울)한-미 국제미술교류전 (죠지메이슨대학교 알링톤 캠퍼스 아트갤러리, 미국)서울-시카고전 (시카고 포스터갤러리, 미국)서울의 바람, 서귀포의 꿈 (이중섭미술관, 다빈치미술관, 제주도)100인 100색전 (조선화랑, 서울)한국현대미술 100+1 (필라델피아시 서재필기념센터, 미국)한국여성 화가 특별초대전 (LA한국문화원, 미국)서울의 바람, 서귀포의 꿈 (이중섭미술관, 다빈치미술관, 제주도)Best Star & Best Artist전 (인사아트센터, 서울)한국화! 변용을 위한 모색전 (현대예술관, 울산) 수상2013 제33회 올해의 최우수예술가-심사위원선정 특별예술가상, 제10회 한국미술정예작가상,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및 입선2회, 의왕시여성상, 한국미술대전 최우수상 등 심사(자문, 운영, 집행)2020공공미술(문화뉴딜)프로젝트 자문위원, 2019 안양공공예술(APAP6) 집행위원, 2018 정부 인천지방합동청사 미술작품 선정위원, 충남미술대전, 세텍, 아트서울 운영위원, 안양시 인수위원 대한민국 회화대전, 환경미술대전, 서울 여성 미술대전, 서울 메트로 전국미술대전, 나혜석미술대전, 서울미술대전, 용산 국제미술대전, 한국미술 국제공모대전, 2018 농산물유통정보 공모전, 2021 우리동네 예술프로젝트 등 교육, 산업체, 저서, 기타 경력건양대학교 겸임교수, 협성대학교 초빙교수숙명여대 회화과 초빙교수(사) 국제청년예술가협회 이사-현) (사) 한국미술협회 한국화분과 이사-현) (재) 안양문화예술재단 이사-현) 저서- 지금 한국의 화가를 만나다 (고려원북스, 2015) 워크숍- 2014 올드웨스트버리 뉴욕 주립대, 미국칼럼- 일간투데이, 이애리의 그림읽기 레지던시- 골드 창작스튜디오, 갤러리 아트리에 조형물- Good Luck in 꽈리, 4,5M, 광명국제무역센터, 2019콜라보- 아트카(행운이)- CEVO MOBILITY X KLAMP GALLERY칼럼- 매거진Q, The Story 연재 중 작품소장 전경련, 그랜드하얏트호텔(제주드림타워), 롯데호텔(서울, 제주), 홍콩 하버시티그룹,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영동세브란스병원, 의왕시청, 과천시청, 청와대, 현대예술관, 취옹예술관, 한국경제신문사, 세종호텔 갤러리, Gallery CHUN(뉴욕), (주)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대명, (주)효성, (주)정일산업, (주)골드라인, (주)글로벌 유명, (주)스웨코,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4점) 등